블랙정보카드 햄버거 메뉴

목차

    반응형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결합.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는 뜻이며,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최대 경계선이기도 하다. 환율이나 유가의 대규모 변동은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 국내에서도 대규모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킨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상식적으로 보면 경기 호황기에는 수요와 기대감이 높아져 가격이 오르는 반면 경기침체기에는 수요 감소와 불안감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경기침체와 동시에 물가가 오르는 상식에 어긋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이것의 대척점에 있는 현상, 즉 경제 호황과 안정된 물가의 상태를 골디락스 경제라고 한다.

     

    통상 단기적으로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반비례하는데 한 경제 단위의 생산 잠재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통화량 증가 → 실업률 감소, 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반대의 경우 디플레이션은 조금씩 다르지만 현상 자체는 비슷하다. 하지만 여기서는 총공급의 위축으로 인해 일반 과정이 갑자기 무너지고 정반대가 된다. 그중 하나가 공급 비용 상승이다.

     

    예를 들어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에서는 오일쇼크 원유가격 상승 > 원자재 공급단가 인상 > 생산단가 인상 등으로 유가가 상승해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생산원가 상승으로 인한 생산 감소가 발생한다. 그래서 실업률이 더 높다.

     

    버블이든 비합리적인 총수요부양정책이든 성장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거나 어떤 이유에서든 자연실업률 이하로 떨어진다는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 경우 장기적으로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총공급 계약이 이뤄져 경기침체기에 인플레이션이 동반된다. 일회성이 아니라 상당 기간 지속된다는 점에서 진정한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사례가 갈리는 이유는 안정화 정책의 대응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공급원가 상승의 경우 총수요관리 정책으로 물가상승이 억제되면 가뜩이나 심각한 실업률이 악화될 수 있다. 이런 충격이 대부분 일회성 충격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 시점에서는 정부가 인플레이션 정책을 억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학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추가 인플레이션을 감수하더라도 총수요를 끌어올려 실업률을 자연스러운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합리적 기대이론에 따르면 이런 조정은 고통 없는 인플레이션을 억제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 경우 기존 사례와 달리 억제하는 정책이 선호된다. 이후 경제가 잠재성장률 이하로 떨어지면 총수요를 끌어올려 경제가 활성화된다. 하지만 만약 스태그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 목표를 가진 나라에서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무조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과도한 총수요 확대 이후 장기 조정 과정으로서의 스태그플레이션이라면 학계가 이를 억제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

     

    실제로 오일쇼크 당시 연방준비제도 의장인 폴 볼커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최대 20%까지 올리는 이른바 볼커 쿠데타를 감행해 달러 가치를 방어했다. 다만 비용 상승의 경우 상당히 문제가 되는 정책 방향이다.

    이런 식으로 안정화 정책이 갈리지만, 어떤 경우든 생활비 조정 조항으로 묶인 연금 조정에 모든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야 한다. 국내외 정국, 산업구조조정, 외국의 금리·환율 조정, 유가변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법은 사실상 없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다. 한 번 오른 물가는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안정돼도 물가는 결코 손을 놓으려 하지 않는다. 애그플레이션, 단백질 인플레이션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데, 경제당국이 물가안정 노력조차 하지 않으면 스태그플레이션은 곧바로 서민경제를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스태그플레이션 투자전략(생존 메뉴얼)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투자전략이라기 보단 피해를 제한할 수 있는 또는 대처하는 실직적인 방법이라고 소개하는 게 좋을 듯하다.

    소비자들은 에너지 비용, 대출, 주택 담보 대출과 같은 특정 지출을 조정함으로써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저축 예금과 투자는 어떨까? 물가가 상승하는 시점에서 현금 성과는 부진하다.

    회사의 주식은 현금보다 가치를 더 잘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1. 방어적 성격(전기, 생필품 등 필수품·서비스 공급)이 강한 기업의 주식은 더 잘 버티는 경향이 있다.
    2. 스태그플레이션 기간(1995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동안 가장 잘한 부문은 유틸리티, 필수 소비재 및 부동산(출처: 슈뢰더 경제 및 전략 연구부).

     

    분산 투자는 또한 인플레이션 동안 주요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포트폴리오는 여러 자산 그룹에 노출됩니다. 따라서 기업의 주식을 배분하고 원자재, 금, 부동산, 사모자산을 포함한 그 밖의 대체자산을 배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외

    또한 금은 당분간 안전자산으로 인기를 이어갈 전망으로 보인다.

    투자매체 사이킹 알파는 전통적인 안전자산 금이 스태그플레이션에 강력한 리스크 헤지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고, 베테랑 투자자 마크 모비우스 템플턴 자산운용 이머징마켓 그룹 회장도 글로벌 통화의 평가절하와 인플레이션 압력을 감안할 때 금은 안전한 피난처라고 강조했다. 골드만삭스는 러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될 경우 금값이 온스당 2,1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시티그룹은 이 같은 지정학적 위기 발행 가격 상승 가능성은 일시적이라고 봐야 하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진정되면 금값이 2100달러까지 오른 뒤 1800달러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고랜드 사태 정리  (0) 2022.11.11
    2022 근로장려금 지급일  (0) 2022.07.28
    통신요금 환급금 신청하기  (0) 2022.07.27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지원내용  (0) 2022.07.05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